유아학비 (누리과정) 지원 신청 방법, 기한, 지원대상, 지원금

2025년 유아학비(누리과정) 지원 총정리

지원대상2025.3.1~2026.2.28에 만 3~5세 유치원·어린이집 재원(‘19, ‘20, ‘21년생+‘22년 1~2월생 일부)
지급액(월) 국공립: 100,000원(교육비) + 50,000원(방과후)
사립: 280,000원(교육비) + 70,000원(방과후)
사립 저소득층: 추가 200,000원
신청방법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주민센터 방문 (특수관계자/조부모 등 또는 온라인 불가 상황)
신청인보호자(부모 또는 법적 보호자)
주요 구비서류사회복지서비스(변경) 신청서, 바우처 신청서, 아이사랑 카드발급 등
유의사항 기존 보육료·양육수당 수급자는 유아학비로 변경 필수
소급 지원 없음, 중복수급 불가, 해외 체류 31일 이상 시 중지

# 유아학비(누리과정) 지원, 엄마 단톡방에서 우연히 알게 된 신세계!

진짜 이 얘기를 안 쓰면 안 될 것 같아서, 오늘은 2025년 유아학비(누리과정) 지원 실제 신청! “엄마생존일기” 한 편 남겨봐요. (저처럼 허둥지둥하는 엄마들 꼭 보셨으면… 제 눈물의 흔적이 담겨 있으니까요😂)

처음 들은 건 어느날 엄마들 단톡에서…

솔직히 전 지원금을 잘 몰랐어요. 아, 물론 “뭔가 돈 준다더라?” 이런 건 들었지만 진짜 내 일이 될지 몰랐다구요! 그러다 어느 날, 평소처럼 키즈카페 알림 오길래 열었더니 “단톡방 폭풍 알림”이. 뭔가 했더니 유치원 입학 앞두고 누리과정, 유아학비, 바우처 키워드로 엄마들이 불타고 있었던 거 있죠? “애들 등록하면 바로 신청해야 된다”, “이거 안 하면 지원 못 받고 돈만 더 깨져”라면서… 하 진짜, 이 세계 낯설어!

헉, 내 아이는 대상 맞나?

읽어보니 3~5세, 즉 ‘19년생부터 ‘21년생 (그리고 ‘22년생 1~2월생 일부!)면 된다고 써있더라구요. 내 애는 20년생이라 일단 오케이! 근데 혹시나 해서 출생 연도랑 생일까지 애기 주민등록등본이랑 인터넷 켜놓고 몇 번이나 대조했는지 몰라요;; 초짜엄마라 이런 것도 괜히 긴장돼요, 맞나? 설마 나중에 ‘만3세 기준 3월1일~이전’ 이런 예외 있는거 아니야!? 막 걱정하면서 계속 검색!

진짜 현실, 신청 과정은요…? (복지로 온라인 vs 주민센터)

아, 여기까지만 해도 머리 복잡한데, 드!디!어! 신청에 돌입. 친구가 막 “복지로에서 몇 분이면 끝난대!”라고 해서, 저도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에 도전했죠.

근데 헉, 온라인 신청은 부모만! 된대요. 혹시 애 봐주는 할머니 명의로 하려고 했다면 안 됩니다. 부모 아니면 주민센터 가셔야해요. 전 그냥 엄마 계정 아이디로 진입~

처음엔 당.연.히 안 될 줄 알고 아이 주민등록번호와 제 계정, 어? 이상하게 계속 오류 뜨는 거예요. 다시 다시! “아동이름-부모” 항목 헷갈려서 반대로 입력하고…(진짜 바보같이😂) 차분히 다시 읽고 입력해야돼요. 그리고 서류는 워낙 많아 보여도 “사회복지서비스(변경) 신청서”랑 “바우처 신청서”, “아이사랑 카드 신청” 동의서 준비! 온라인이면 pdf, jpg로도 파일 업로드만 되면 괜찮더라구요.

중간에 또… 주소지 인증 단계에서 저희집 도로명주소 띄어쓰기 하나 안 맞아서 실수. 팁 드리자면, 주소는 주민등록등본에 있는 그대로! 맞춰서! 그거 때문에 한 10분 허비했어요.

그리고 또 하나, 양육수당이나 어린이집 보육료 받고 계셨던 분들은 반드시 지금껏 받던 거 “변경 신청”하셔야 해요. 안 그러면 둘 다 끊기고, 지원금도 날아갈 수 있대요. 저는 아직 그 단계 전이어서 다행이었지만, 단톡에 한 엄마는 모르고 그냥 신규신청만 했다가 “소급 지원 불가!” 멘트 듣고 진짜 속상해서 펑펑 울었대요…😱

진짜 돈, 언제 들어오냐구요?

신청하고 나면 “학부모 인증” 진행한다고 문자 오거든요. 이게 처리가 생각보다 1~2주 쯤 걸리는 거 같아요. 유치원 개학 전에 해두면 제일 편하고, 늦어도 3월 중엔 지급이 돼요. 지원금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통장으로 바로 입금되는 구조더라구요. 우리 아이는 국공립이라 (교육비) 10만원, (방과후비) 5만원 = 총 15만원을 매월 깎아줘요. 사립다니면 최대 28만원+7만원에, 저소득층 추가 20만원이면 진짜 크더라구요.

저희는 맞벌이라 특별지원은 못 받지만, 매달 15만원 덜 내도 이게 얼마나 크게 느껴지는지… 치킨 두 마리, 영어책 한 질, 장난감 하나, 한 달에 자유수강권까지! 아이 키울 때 이런 지원이 얼마나 필요한지, 진짜 실감했어요.

지원 망설이시는 분, 꼭 기억해야 할 팁!

  1. 초등 입학 전 3~5세/연령 기준 엄마들은 (19~21년생+22년 초생) 출생일 꼭 확인!
  2. 보육료/양육수당 받고 있다면 유아학비로 반드시 변경신청→ 두 번 지원 “절대 안 됨”, 안 하면 한 푼도 못 받음!
  3. 복지로 온라인 신청은 부모만 가능
  4. 서류 파일 준비는 컴퓨터/폰 사진으로 미리 챙기기 (용량 및 jpg/pdf 체크)
  5. 신청기한은 상시지만, 학교 개학 전에 해두면 맘 편함!
  6. 주소, 아이이름 등 철자 체크 두세 번!

신청하고 나니, 정말 마음이 달라지더라구요

신청 전에는 “이런 거 나한테까지 돌아오겠어?” 의심도 많고, 인터넷 정부 사이트는 무섭고… 작년에는 그냥 지나쳤던 저. 근데 한 번 해보고 실수도 해보고, 다들 똑같이 헤매고 챙기는 과정임을 알게 되니까 훨씬 마음이 든든했어요. 지금은 매달 유치원비 명세서에서 지원금 차감된 걸 보면, 그저 뿌듯! 엄마아빠 모두 쫌 속이 시원해집니다.

저처럼 처음엔 무섭고 어렵게 느껴지더라도, 유아학비(누리과정) 지원 꼭 신청하세요! 괜히 겁먹지 마시고, 소중한 우리 아이 혜택은 야무지게 챙기는 거, 엄빠로서 당당하게 누리실 자격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꿀팁, 부끄러워말고 다 같이 공유해요 😊

이 글이 혹시 고민하는 누군가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진심으로 바랄게요!

array(10) {
  ["stackable_optimized_css"]=>
  array(1) {
    [0]=>
    string(0) ""
  }
  ["stackable_optimized_css_raw"]=>
  array(1) {
    [0]=>
    string(6) "a:0:{}"
  }
  ["rank_math_internal_links_processed"]=>
  array(1) {
    [0]=>
    string(1) "1"
  }
  ["ja0110"]=>
  array(1) {
    [0]=>
    string(1) "3"
  }
  ["_ja0110"]=>
  array(1) {
    [0]=>
    string(19) "field_67f250c80322c"
  }
  ["ja0111"]=>
  array(1) {
    [0]=>
    string(1) "5"
  }
  ["_ja0111"]=>
  array(1) {
    [0]=>
    string(19) "field_67f250f90322d"
  }
  ["_edit_last"]=>
  array(1) {
    [0]=>
    string(1) "1"
  }
  ["_edit_lock"]=>
  array(1) {
    [0]=>
    string(12) "1745253097:1"
  }
  ["litespeed_vpi_list"]=>
  array(1) {
    [0]=>
    string(108) "a:2:{i:0;s:14:"logo-light.svg";i:1;s:64:"d8c79f27d0183a9d4f85a4ec28d5913f9b6d75a38fa5647983dc54178b8b9ac8";}"
  }
}